금융 / / 2023. 10. 11. 12:00

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최소금액과 적정금액 정리

반응형

주택청약은 내 집 마련을 위해 필요한 청약입니다. 하지만 연말정산 소득공제의 혜택도 누려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주택청약으로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받는 방법과 최소금액 그리고 적정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홈 주택청약 정보
청약홈 주택청약 정보

 

※ 함께보면 도움되는 포스팅?

 

1. 주택청약 금리, 출금, 해지 방법 ☞ 클릭

2. 주택청약  1순위 조건과 예치금 ☞ 클릭

 

 

 

주택청약 종합저축

출처 : segye.com

 

초년생들이 가입해야할 통장 중에서 세금관련 혜택을 받는 것은 주택청약, 연금저축, 개인형퇴직연금(IRP)이 대표적입니다. 그 중 주택청약저축통장은 저축을하면서 공제를 받는 세태크의 기본적인 통장으로 꼽히는데요.

 

세금관련 혜택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연말에 반짝 준비하는 것이 아닌 1년을 준비해야하는 과정이므로, 바뀐 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내용과 최소금액, 그리고 적정금액은 어느정도일지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청약 최소금액 및 적정금액

주택청약 최소금액
주택청약 최소금액, 출처 : mk.co.kr

 

주택청약에 납입하는 금액은 스스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때문에 많은 분들이 얼마를 넣어야 가장 효율적인지 궁금해하시곤 하는데요.

 

주택청약통장은 매월 2만원이상 50만원 이내에서 10원 단위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납부한 총액이 1,500만원 도달 시 까지는 50만원 초과하여 자유적립이 가능합니다. 청약저축의 적정금액은 사실 정답은 없지만, 대체로 10만원으로 많이 잡고 있습니다.

 

이 액수가 의미가 있는건 바로 공공 분양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면적 40m² 초과는 3년 이상 기간의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저축 총액이 많을수록 당첨 확률이 높습니다.

 

단 여기서 중요시하게 봐야할 것은 월 납입금은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30,40만원을 넣는다고 하더라도 10만원을 넣은 것으로 인정됩니다.

 

주택청약 적정금액
주택청약 적정금액, 출처 : webdoumi.com

 

그렇다고 하더라도 10만원을 무조건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본인이 민간 분양만 노린다면 최소 금액인 2만원만 납입하면서 횟수만 채우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예치금 기준을 맞추기 위해서 한번에 납입해야하는 과정도 필요하죠.

 

반대로 매년 300만원을 채워가면서 세금공제 혜택을 최대한 노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결국은 개인 상황을 살펴보고 통장을 만든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떻게 될지 계획이 세워지지 않고 잘모를 때 10만원이 여러 부분에서 충족이 되기 때문에 추천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 의견이구요.

 

본인이 사용하는 은행 앱에서 '자동이체 조회/변경' 탭에서 쉽게 금액변경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청약저축통장은 주택도시기금에 의해 정부가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주택청약 연말정산
주택청약 연말정산, 출처 : news.mt.co.kr

 

주택청약은 세금공제를 위해서도 매우 유용한 상품입니다.

 

현재 정부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한 소득공제 제도를 두고 총급여액이 연 7000만원 이하이면서 무주택세대주인 근로 소득자에게 연 240만원을 한도로 저축 납입액의 40%를 근로자의 소득금액에서 공제하고 있습니다.

 

다만 개정을 통해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연간 납입한도가 24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300만원의 40%이므로 120만원까지는 공제가 되는 것입니다. 소득공제 적용 저축액은 10년 만에 상향된 것이므로 꽤나 파격적인 변동이라고 볼 수 있죠.

 

주택청약 연말정산
주택청약 연말정산, 출처 : 국토부

 

이 부분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이 필요한 사항으로, 내년 1월1일 이후 납입분부터 적용된다는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택청약
주택청약, 출처 : imagetoday

 

오늘은 주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최소금액과 적정금액 정리를 해봤습니다.

 

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주택청약 연말정산 소득공제

 

정부는 주택청약 예치금과 가입자수가 줄어드는 현상을 막기 위해 여러 조건을 강화하고 있으며, 본인이 내고 있는 금액이 현재 부담스러운지, 아니면 늘려서 혜택을 더 받을 수 있을지 꼼꼼하게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주택청약 소득공제주택청약 소득공제
주택청약 소득공제
주택청약 소득공제주택청약 소득공제주택청약 소득공제
주택청약 소득공제
주택청약 연말정산주택청약 연말정산주택청약 연말정산
주택청약 연말정산

 

결론적으로 청약을 유지한 기간이 길수록, 납입 금액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청약통장 해지는 가장 후순위로 생각해보셔도 됩니다.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