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2023. 9. 29. 12:00

주식용어 정리 :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의 이해

반응형

주식투자 어떻게 하고 있으신가요? 주식투자를 처음 하셨던 분들은 모두 같은 경험을 해봤을 것입니다. 종목 매도를 했지만 바로 돈이 들어오지 않아 어떻게 된 영문인지 모르셨을텐데요.
 
주식시장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시스템을 알아야 매매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자주 보이지만 뜻을 알기 어려웠던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는 반드시 공부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포스팅 ↓

주식용어 정리
주식용어 정리, 활용 바로가기

 

주식용어 정리

주식 예수금

주식 예수금
주식 예수금, 출처 : 신한투자증권

 
예수금이란, 일반적인 용어로서 거래처나 종업원에게 받는 신원보증금을 의미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주식매수시 필요한 금액을 뜻합니다.
 
쉽게말해 현재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라고 볼 수 있죠. 예수금방식은 주식매수를 할 때 은행계좌의 자금이 매수자금으로 사용되며, 매수된 주식은 증권계좌로 입금처리가 처리됩니다.
 
반대로 주식을 매도할 때에는 매도된 자금이 은행계좌로 입금됩니다. 다시말해 예수금은 은행계좌를 통해서 관리되며 주식은 증권계좌를 통해서 관리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 예수금
주식 예수금, 출처 : 나무증권

 
실제로 MTS 를 보다면 D+1 예수금, D+2 예수금 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1은 내일 예수금의 금액을, D+2는 이틀 뒤의 예수금 금액을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월요일에 주식을 매도한다면 D+2 이므로 수요일에 출금이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회사는 주식 및 채권거래의 중개역할만 할 뿐이지 증권을 직접 보관하고 있진 않습니다. 우리가 매수한 주식, 채권 등의 증권은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보관 즉, 예탁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죠. 이러한 중개과정 속에서 딜레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를 대체결제제도라고 부르죠.
 
참고로 미국은 내년 2024년 상반기부터 D+2가 아닌 D+1 제도가 도입될 계획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추후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요.
 

 

 

주식 증거금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증거금 개념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말하는 증거금이란, 주식을 매수할 때 최소로 필요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출처 : samsungpop.com

 
증권시장은 매매거래가 체결된 이후 결제시점까지 일정한 기간이 소요되고, 그 사이 가격이 변동해 손실이 커지면 결제를 이행하지 않을 위험이 발생합니다. 이에 거래소는 거래당사자가 결제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예탁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담보물 성격의 예치금을 증거금이라고 합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주식을 매수, 매도할 때 실제로 결제가 이뤄지는 것은 주문이 들어가고 이틀 뒤입니다.
 

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출처 : 나무증권

 
매수를 할 때 증거금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위 종목처럼 엠로는 40%, 투비소프트는 100% , 삼성전자는 3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증거금만큼의 비율만 있다면 해당 종목을 매수할 수 있으며 나머지 금액은 D+2 일까지는 채워넣어야만 합니다.
 
증거금이 100%라는 말은 주가만큼의 돈이 있어야 매수가 가능해지며 이러한 비율은 종목의 규모와 신뢰성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와 같이 안정성이 높은 기업은 증거금이 30%로 낮게 설정되어 있지만 신규 기업이거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종목은 증거금이 100%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식 대용금

대용금이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을 담보로 써서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뜻합니다. 일종의 레버리지 개념으로 보시면 되며 예수금이 부족할 경우 주식을 담보로 추가적인 매수도 가능하게 됩니다.
 
참고로 가능한 대용금은 전일 종가의 70%지만 확정적인 수치는 아닙니다. 예를들어 만원짜리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다면 대용금으로 약 70만원 어치의 주식을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예수금
주식 예수금, 출처 : 나무증권

 
물론 레버리지를 쓰는 것이므로 대용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비추천입니다.
 
담보로 빚을 내서 추가매수를 진행하는 것이므로 리스크가 한번에 높아진다고 보시면 되며 만약 대여기간(2일) 안에 제대로 값지 못할 경우 담보로 활용한 주식은 강제청산 됩니다.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반대매매를 누구나 무서워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 반대매매 : 주식이나 선물 등 신용거래 후 과도한 하락이 발생했을 때, 증권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임의로 처분하는 것.
일반적으로 큰 손해가 발생함.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

 
오늘은주식용어정리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 이해하고 활용하기에 대한 글을 써봤습니다.
 

주식 대용금주식 대용금주식 대용금
주식 대용금

 
꼭 모든 기능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용어는 알아둬야 나도 모르게 빚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식 예수금주식 예수금주식 예수금
주식 예수금
주식 증거금주식 증거금주식 증거금
주식 증거금

 
이 외에도 여러 용어들을 설명드릴 예정이며 최대한 쉽게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