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2023. 5. 5. 15:00

경기도 지역화폐 종류 혜택 사용처 신청방법

반응형

 

각 지역마다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 중에 하나로 지역화폐가 여러 곳에서 출시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원조라고 할 수 있는 경기도 지역화폐의 종류를 비롯하여 소비자 입장에서의 혜택과 가맹점 혜택 그리고 사용처와 신청방법에 대해서 면밀하게 살펴보자.

경기도 지역화폐

경기도 지역화폐는 경기도에서 발행한 지역화폐의 일종이다. 당연히 경기지역의 소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코아아이'에서 출시한 화폐이다. 지역화폐라는 건 말 그대로 지역별로 사용하는 화폐이며, 각 시 또는 군에서 정책에 따라 카드형, 모바일형, 지류형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경기지역 화폐는 이 3가지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종류

종류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카드형, 모바일형, 지류형이 있다. 이 3가지의 종류는 모든 지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다. 그러므로 각 시, 군 정책을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 카드형은 체크카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체크카드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모바일형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QR코드를 활용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지류형은 종이화폐로 되어있는 지역화폐를 말한다. 참고로 경기도 지역화폐는 기본 50만 원까지 충전이 가능하며 금액 보유한도 상향을 통해 최대 200만 원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소비자의 혜택

소비자의 혜택은 크게 소득공제, 할인혜택, 지역의 범용성 이렇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소득공제는 연말정산 할 때 소득을 줄여서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말한다. 경기도 지역화폐를 사용하게 된다면 현금영수증 발행이 가능하며 발행한 금액에 대해서 30%의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할인혜택은 가맹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시, 군별로도 차이가 있는데 보통 6~10%의 추가적인 할인혜택을 받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기도 지역화폐는 지역화폐라고 해서 경기도민만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꼭 거주를 하지 않더라도 경기도 있는 직장 혹은 학교를 다닐 때에도 신청이 가능하다. 경기도에 여행을 갈 일이 있다면 경기도 지역화폐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맹점의 혜택

소비자의 혜택만 있다면 가맹점이 늘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사용처가 줄어들기 때문에 지역화폐로서의 가치가 줄어들게 된다. 가맹점의 기본적인 혜택은 무엇보다 가맹수수료가 없다는 점이다. 가맹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가맹주 입장에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 자영업자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는 신용카드 수수료라고 할 수 있는데, 신용카드 수수료보다 0.3% p를 절감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화폐를 가맹점이 사용함으로써 홍보효과를 노려볼 수 있다. 이는 가맹점 신청 페이지에 접속해서 기본사항을 등록하면 심사에 통과해야 한다. 심사가 통과되면 자격이 부과되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처

가장 중요한 게 사용처일 것이다. 사용할 곳이 있어야 구매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경기도 지역화폐는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프랜차이즈 직영점 및 유흥 사행업소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추가로 연 매출 10억 이하인 소상공인 점포에서만 상이 가능하다. 취지가 그러하기 때문이다. 이를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이트에서 매장검색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경기도지역화폐 매장검색'을 검색해서 지역을 선택하고 매장종류 또는 매장명을 입력해서 검색하면 매장 리스트와 함께 주소 및 전화번호까지 나오고 있으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모바일 앱으로도 경기도 지역화폐가 사용이 가능한

신청방법

경기지역화폐를 검색하면 사이트가 나온다. 또는 앱으로도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모바일로 경기지역 화폐를 검색해서 설치하고 신청할 수 있다. 신청 또는 앱을 다운로드하여서 '카드 안내 및 신청' 탭에서 본인이 해당하는 경기도 시, 군을 선택해서 신청하면 된다.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신청해서 사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금을 사용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신용카드나 애플페이 또는 삼성페이로 결제 방식이 많이 편리해진 지금이다. 지역화폐는 조금 손이 가더라도 지금처럼 고물가 시대에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조금의 시간을 투자해서 지역화폐로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비롯하여 절약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