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 2023. 7. 10. 12:00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연체율 확인, 예금자보호 정리

반응형

뉴스를 틀어보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승으로 인한 뱅크런 사태 등 끊임없이 안좋은 이야기가 흘러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정부도 손을 쓰고 있는 모습인데요. 부실지점 명단과 연체율 확인 그리고 예금자 보호가 가능한지 정리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

 

새마을금고 연체율 급등

새마을금고 연체율
새마을금고 연체율, 출처 : kukinews.com

 

올 들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등하며 부실 공포가 확산되면서 뱅크런 우려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부는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불안한 마음에 돈을 인출하고자 은행을 찾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현재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황은 어떻고 부실지점 명단 확인방법은 무엇인지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연체율 확인

애초에 문제가 되어던 것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높아진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필요한 경우 합병 요구, 부실자산 정리, 임원 직무 정지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특별하게 연체율상승세가 높은 지점은 특별점검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달 29일 기준 6.18%로 일반 시중은행의 20배에 육박하고 역대로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신협이나 농협 등 상호금융권의 1분기 연체율과 견줘도 2.55배 수준입니다.

 

새마을금고 연체율
새마을금고 연체율, 출처 : 행정안전부

 

하지만 3월말 5.33%, 5월말 6.19%, 6월15일 6.49%, 6월29일 6.18%를 기록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행안부가 개입하였으므로 이대로 간다면 7월 이후로는 안정세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결과는 더 지켜봐야 하죠.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일단 새마을금고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의 돈이 지켜지는지가 가장 궁금할 것입니다.

 

예금자보호 여부도 이슈가 되었는데, 다른 금융권과 마찬가지로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예금자 1인당 5000만원까지 보호가 가능하능하다는점 인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 확인방법

최근 부실지점에 대한 명단 30곳이 인터넷에 떠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하게 확인되지않은 정보에 고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므로 명단 자체보다는 본인이 사용중인 지점을 체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명단에 포함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기공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확인 방법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은 홈페이지 정기공시에서 본인이 해당하는 지점을 검색한뒤,

정기공시에서 2022년 12월로 설정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체크사항

1. 연체대출금 비율 10% 이하

2. 유동성비율 100% 이상

3. 총자산 순이익률 1.0% 이상

4. 경영실태평가 1~2등급

 

1. 연체대출금

연체대출금 비율 = (연체대출금 ÷ 총대출채권) x 100 (%)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출처 :  www.kfcc.co.kr

 

공시 내용중에서 중요한 것은 연체대출금 비율입니다. Ctrl + F 를 눌러 '연체대출금' 을 검색하시면 위와같이 뜨게되고,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에도 8.49%로 1년사이에 크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8% 이상이 된다면 좋지 않은 징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점마다 워낙 차이가 있으므로 1% 이하인 지점도 있으며 10% 이상인 지점도 있으므로 꼭 해당지점을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연체율이 10% 이상이 된다면 행안부가 특별검사를 실시하여 지점 통폐합 및 폐쇄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유동성비율 100% 이상

유동성비율 = (잔존 만기 3월 이하 유동자산 ÷ 잔존 만기 3월 이하 유동부채) × 100 (%)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출처 :  www.kfcc.co.kr

 

마찬가지로 Ctrl + F 를 눌러 '유동성비율' 을 검색하시거나, 27번 항목의 유동성비율을 보면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0%이상인 경우 건전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단기적인 유동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이므로 높을수록 유리합니다.

 

3. 총자산 순이익률

1.0% 이상 총자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자산 평잔) × 100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출처 :  www.kfcc.co.kr

 

28번 항목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0%를 넘는 것이 좋습니다. 이익을 내기 위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체크하는 항목이므로, 경영진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며 수익성 지표이기 때문에 꼭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4. 경영실태평가 1~2등급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출처 :  www.kfcc.co.kr

 

31번 항목의 경영실태평가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2등급 내에 있어야 안전하다고 볼 수 있으며 3등급 이상인 경우 위험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영실태평가는 수시공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명단, 출처 :  www.kfcc.co.kr

 

해당지점의 수시공시 첨부파일을 열어보면 위와같이 경영개선권고를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오늘은새마을금고 부실지점 명단 및 연체율 확인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불안감이 아직 퍼져있는 상황이므로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믿고 움직이기 보다는 공시사항을 살펴보고 내가 사용하는 지점을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금고새마을금고 부실금고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부실금고새마을금고 부실금고새마을금고 부실금고
새마을금고 연체율새마을금고 연체율새마을금고 연체율
새마을금고 연체율

 

금융은 신뢰로 이뤄진 영역이므로 뱅크런이 이어진다면 최악의 상황으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침착함을 유지하되 냉정하게 움직여야 합니다. 관련정보 잘 정리해두시고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